📌 이런 시기엔 반드시 확인하세요!
- 입사 초기 (근로계약 직후)
- → 정규직이든 계약직이든 입사와 동시에 가입되어야 함
- → 보험 미가입 상태에서 사고 발생 시 보상 제외될 수 있음
- 퇴사 직전 또는 퇴사 후
- → 실업급여 수급 위해선 고용보험 가입기간 필수
- → 퇴사일 직후, 지역가입자 전환 여부 확인 필요
- 창업 또는 프리랜서 전환 시기
- → 4대 보험 중 자발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항목 확인
- → 국민연금·건강보험 지역가입 대상 여부 체크
| 보험 종류 | 주요 내용 | 핵심 혜택 |
|---|---|---|
| 국민연금 | 노후 대비 | 연금 수령, 장애·유족 보장 |
| 건강보험 | 의료비 지원 | 병원 진료, 입원·약값 보조 |
| 고용보험 | 실직 시 지원 | 실업급여, 취업성공패키지 등 |
| 산재보험 | 업무상 재해 보장 | 치료비, 휴업급여, 장해급여 |
🧾 실제 사례로 보는 4대 보험 미가입의 불이익
- “입사 3개월 후 사고가 났는데 산재 처리를 못 받았습니다.”
- ▶ 입사 당시 산재보험 누락 상태였고, 사내 신고도 되지 않아 개인이 전액 부담
- ▶ 건강보험도 퇴사 처리 누락으로, 지역가입 전환이 늦어져 보험료 폭탄
노무사 조언:
“입사 또는 퇴사 시, 4대 보험 가입·해지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직접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.”
❗ 이런 상황이라면 꼭 체크하세요
- 입사 후 2주가 지났는데도 4대 보험 안내 문자가 없다
- 퇴사했는데도 건강보험 지역가입 안내가 안 온다
- 프리랜서인데 보험료가 과하게 부과된다
- 실업급여 신청했는데 가입 이력이 누락됐다
- 👉 이런 경우, 즉시 고용노동부/건보공단/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하세요.
🙋🏻 궁금해요!
Q1. 퇴사한 지 몇 달 지났는데도 실업급여를 못 받고 있어요.
A.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선 퇴사 전 18개월 동안 최소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있어야 합니다.
또한, 퇴사 사유가 비자발적(권고사직, 계약만료 등)이어야 하며,
회사 측에서 고용보험 상 퇴사 처리가 정확히 되어 있어야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.
가입 여부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.
Q2. 프리랜서도 4대 보험을 다 가입해야 하나요?
A. 프리랜서는 사업장 가입 대상이 아니므로 의무 가입은 아니지만, 일부 항목은 본인이 선택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.
국민연금, 건강보험: 지역가입자로 가입 가능
고용보험: 희망자에 한해 자영업자 고용보험 가입 가능
산재보험: 신청하면 프리랜서도 가입 가능 (위험 직종에 유리)
특히 출산·질병·노후 대비를 위해 자발적 가입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.


